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책 리뷰> 토우의 집 - 권여선 장편소설

by 🎶(ノ◕ヮ◕)ノ*:・゚✧💋 2023. 5. 25.

소설/ 시/ 희곡/ 한국 장편소설

제18회 동리문학상 수상작품. 권여선 장편소설. 토우의 집은 권여선 소설가가 이룬 가장 의미 있는 문학적 성취라고 할 수 있다. 남쪽은 사람이 토우가 되어 묻히고 토우가 사람 집에 들어가 산다네 토우의 집은 깜깜한 무덤. 긴긴 성장통과 함께 써 내려간, 고통에 관한 고백

 

책 소개

‘장독 뒤에 숨어서’라는 제목으로 계간 『자음과모음』을 통해 2014년 봄부터 가을까지 연재된 작품으로, 우리가 정면으로 응시해야 할 고통과 상실의 현장을 다루고 있다. 『토우의 집』의 주 배경은 큰길 곁으로 골목마다 채국채국 집을 지어 머리를 치켜든 다족류 벌레처럼 보이는 삼벌레고개이다. 소설은 ‘어린아이들의 눈을 통해’ 이 산자락에 자리한 마을에서 부대끼면서 살아가는 어른들의 모습을 잔잔하게 펼쳐낸다. 주인공 ‘안 원’에게는 언니 ‘영’과 동생 ‘희’가 있다. 이 세 자매는 주인집에 세 들어 살고 있으며, 주인집 아들 ‘은철’과 마을의 비밀을 조사하는 스파이가 되기로 한다. 하지만 원이의 아버지가 갑작스럽게 사라지고 ‘감옥에 갇혔다는’ 소문이 남긴 채, 세 아이들의 이름처럼 영원히 돌아오지 않는다. ‘인혁당 사건’을 연상케 하는 이 소설은 ‘토우가 되어 묻힌’ 사람들의 자리, ‘토우의 집’이라는 역사적 비극의 공간을 그리고 있다. “누구나 그것을 상실하고는 도저히 살아갈 수 없는 뭔가가 있는데, 이를 부당하게 빼앗긴 사람들이 겪는 상처에는 무한한 사과와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는 마음이 집필 동기가 됐다”는 작가의 말처럼 이 작품은 삼벌레고개 어린 스파이들의 긴긴 성장통과 함께 써 내려간, 고통에 관한 고백이다.

 

저자 소개

1965년 경북 안동 출생. 서울대 국어국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인하대 대학원에서 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96년 장편소설 『푸르른 틈새』로 제2회 상상문학상을 수상하며 등단했다. 솔직하고 거침없는 목소리로 자신의 상처와 일상의 균열을 해부하는 개성있는 작품세계로 주목받고 있다. 2007년 오영수문학상을 수상했다. 2008년도 제32회 이상문학상 수상작인 '사랑을 믿다'는 남녀의 사랑에 대한 감정과 그 기복을 두 겹의 이야기 속에 감추어 묘사하여 호평을 얻었다. 저서로는 소설집 『처녀치마』, 『분홍 리본의 시절』, 『내 정원의 붉은 열매』, 『비자나무 숲』, 『안녕 주정뱅이』, 『아직 멀었다는 말』, 장편소설 『레가토』, 『토우의 집』, 『레몬』, 산문집 『오늘 뭐 먹지?』가 있다. 오영수문학상, 이상문학상, 한국일보문학상, 동리문학상, 동인문학상, 이효석문학상을 수상했다.

 

출판사 리뷰

'삼벌레고개' 어린아이들이 자라는 법. 어린 고통이 세상의 커다란 고통에 안기는 온기. 산꼭대기에 바위 세 덩이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 ‘삼악산’이다. 그 남쪽 면은 경사도 완만하고 바위도 적어서 산복도로를 냈다. 그리고 애벌레처럼 그 도로 옆으로 집들을 지었다. 우물집 둘째 아들인 은철이네 집에 새댁네 식구가 이사를 온다. 새댁네 가족은 ‘안 영’ ‘안 원’ 두 딸까지 넷이다. ‘은철’과 새댁의 둘째 딸 ‘영’의 직업은 ‘스파이’. 마을 우물에 빠져 죽은 처녀들의 수가 왜 ‘구십삼’인지 밝혀내고, 벽돌을 갈아 만든 독약으로 누군가를 벌하기도 하며, ‘새댁’ 혹은 ‘누구 엄마’로 부르고 불리던 동네 사람들의 이름을 알아낸다. 하지만 ‘개발기술’과 ‘귀밝이술’의 발음이 똑같은데 어떻게 어른들은 그걸 구분해 내는지, 어른들의 세계는 알면 알수록 모르는 것들 투성이이다. 마을 사람들의 고민은 비슷한 듯하지만 다르고, 다른 듯하지만 비슷하다. 커가는 아이들, 남편의 월급, 새로 이사 온 새댁의 가족사 등. 마을 여인들의 하루 이야깃거리가 되었다가 인생의 큰 고비가 되었다가 운수패를 두고 나면 다시 아무것도 아닌 일이 되기도 한다. 그러던 중 마을에서는 남자들이 한 명씩 끌려가 돌아오지 못하는 일이 번번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삼벌레고개는 작게 진동한다. 원이네는 막내딸 ‘희’가 태어나면서 다섯 가족이 된다. 딸들의 이름을 이어 붙이면 ‘영원희’. 하지만 가족의 행복은 영원하지 않다. 김밥을 몇 줄 살뜰히 챙겨 산에 오르려던 어느 날, 덕규는 처음 보는 사내들의 부름을 받고 따라가 원이가 교복 입을 나이가 될 때까지 돌아오지 않는다. 시종일관 큰 요동 없이 차분하게 진행되는 이 소설은, 삼벌레고개 마을 사람들의 잔잔한 일상 아래를 고요히 흐른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위태롭다. 밥을 먹는 것, 학교를 가고 출근을 하는 평범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그들은 자신 내부의 균열과도 같은 고통을 버텨내고 있는 중이다. 아무 일도 아니라는 듯 덕규가 양복 입은 사내를 따라간 것처럼.

댓글